Showing posts with label referenc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reference. Show all posts

Tuesday, August 11, 2015

La légende comme source

Parfois, lorsqu’on navigue dans les eaux de l’art, une question inattendue nous arrive à l’oreille, remplaçant l’habituelle « Que fait cet artiste ? » par un « C’est qui ce mec ? ». Douglas Park a fait basculer les réflexes interrogatifs. Car ici la balance hésite en permanence et doucement entre la personne et la pratique.

Douglas Park est un artiste anglais, vivant dans le sud de Londres. Il est peut-être dans le top dix des artistes les plus connus de la scène londonienne, bien que, précisément, on ne sache pas précisément ce qu’il fait, ce qui ne préoccupe personne, car c’est, en l’occurrence, une mauvaise question.
Entre la mascotte et le socializer à l’américaine, associée d’érudition frénétique, Douglas Park est celui qui cherche à sortir des travers qui font de lui un personnage.
Connaissant ce que personne ne connaît (par goût, par luxe ou par devoir civique on ne sait pas), il est devenu l’encyclopédie vivante des pratiques les plus obscures : amateurs, fous en tous genres, œuvres perdues et disloquées, groupes improbables, scandales étouffés, parias, professionnels hors catégories, qui consituent une deuxième histoire de l’art, non pas que cette histoire alternative souhaite aspirer à de quelconques lettres de noblesses, mais plutôt parce qu’elle est le terrain méconnu sur lequel se forme l’indispensable et grande Histoire de l’Art. Douglas Park est le connaisseur des « artistes pour artistes », ceux dont, parce qu’ils passent sous les radars de l’académie, on imite, dans certains cas, les meilleures idées. Il devient aussi le défenseur de nouveaux rôles, ceux qui, ne suivant pas avec orthodoxie les clous d’une carrière artistique, deviennent, par façon d’être et parfois par accident, des agitateurs.
Récitateur d’anecdotes et d’épisodes capitaux de l’histoire de l’art moderne, à n’en plus finir, il poursuit inlassablement une double quête d’évangélisation à la cause de l’art et au récit. Ces lectures frôlent avec la fiction, le moment où l’événement vrai rejoint la création artistique en évitant la neutralité documentaire. Ce qui est adjacent prend alors une place centrale. La légende est sa source. Et les individus valent autant que les objets, les moments et les actions prévalent sur les lieux, et donc, pour reprendre une formule connue, l’art se confond avec la vie. Il faut donc être exemplaire.
En prêcheur expérimenté et obsédé par le détail, Douglas est entouré de fidèles supporters et en profite pour agir avec de multiples groupes déterminés et indéterminés, des groupes comme ceux qu’il a dans la tête. Il prendra le rôle de l’acteur, du performer ou du critique d’art, et deviendra, comme dans chacune de ses collaborations une mémoire vivante et fiable de l’action collective.
Il est celui qui ajoute, en apportant avec modestie une personnalité comme symbole visible et en faisant dévier ce qu’on lui propose. De portrait, de lui-même et d’autres personnes, il est toujours question avec Douglas Park. Mais les dizaines et les dizaines de portraits qu’on a fait de lui, les hommages, forment un ensemble s’agrandissant qui cache les particularités d’un prose et d’un style omniprésent. Constituées de ricochets, mobiles et divagantes, les performances de Douglas sont les cours de celui qui a vécu l’histoire en direct et retranscrit, conteur sur-documenté, un ensemble hallucinatoire de sensations et de faits. L’adepte de la parenthèse et de l’insert, des déclinaisons de mots et d’évènements historiques, l’homme fasciné pouvant encore tout savoir dire et tout dire, reste un modèle, dans sa capacité à transformer en forme plastique absolument tout, du mot à l’image, ce qui lui tombe sous la main et entre les oreilles.


Damien Airault
Paris

Tuesday, November 5, 2013

your ground park


전시작가: 우순옥
전시기관: KIM KIM GALLERY
전시장소: Gagarin+Onground
전시명: your ground park
전시기간: 2013년 10월 15일 – 11월 12일
웹사이트: http://www.kimkimgallery.com

국제갤러리 우순옥 작가는 서촌에 위치한 헌책방 gagarin과 갤러리 onground 에서 개인전을 개최한다. 그 동안 개념적인 작업으로 여백의 미를 보여주었던 작가는 구체적인 사물을 표현하기보다, 만질 수 없고 존재하지 않은 것들에 집중하여 어떤 상태나 마음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킴킴갤러리의 기획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가가린과 온그라운드라는 두 개의 공간이 연결되는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장소특정적 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http://www.kukjegallery.com/KJ_artists_view_5.php?a_no=188&v=5
Oct.2013
Seoul

Monday, October 7, 2013

Photo Shooting: Oksun Kim




copyright, Cel Crabeels
Oct. 2013
Jeju


Title_ 함일의 배 Hamel’s Boat
Artist_ 김옥선 Kim, Oksun
Publisher_ 박건희문화재단 Geonhi Art Foundation
ISBN_ 978-89-918-6504-4
http://samusobooks.blogspot.kr/2010/04/hamels-boat.html
Year_ 2008
Language_ KR / EN

이 이야기는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한국이라는 이국의 땅에서 일상의 삶을 즐기는 방식에 대한 기록이고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나의 기존 사진적 접근 방식과 더불어 인물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아름다운 풍경사진에 대한 충동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자유의지와 집단 또는 개인 행동양식,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자연, 자연에 대한 인간의 연약함, 감각적 기쁨, 내면의 미 등에 대한 것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 집에서 차로 20분 정도의 거리에 산방산을 앞에 두고 하멜 기념관이 생겼다. 이 작업의 시작은 핸드릭 하멜(Hendrick Hamel, 한국식이름 : 함 일)이라는 인물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지금으로부터 약 350년 전 한국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네델란드라는 조그만 나라에서 큰 바다를 건너 우리 땅을 밟고 돌아간 서양사람 이다. 그는 한국에 13년간 체류하였던 외국인으로 한국을 서양에 소개했던 첫 인물이다. 
● 350년이 흐른 현재, 한국의 외국인들은 억류되어 생활했던 함 일 일행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이국의 생활을 즐기고 있는 듯하다. 그들은 함일 일행과는 달리 자의에 의해 한국에 들어와 한국의 전통과 문화와 사람들을 만나며 자신들의 이국에서의 생활을 즐기고 있다. 그들은 어쩌면 자국 내에서의 답답한 일상을 탈출하여 이곳에서 또 다른 자신의 '배'를 만들어 또 다른 희망의 세계로의 탈출을 꿈꾸는지 모른다. 
● 친분이 있는 외국인이 배를 만들기 시작했다. 몇 년 간 배 만드는 책과 정보를 수집하더니 드디어 작년부터 합판과 에폭시를 사 나르고 이제 어느덧 배의 형태를 지닌 반쪽의 목선이 눈앞에 나타났다. 그의 꿈은 자신이 만든 배를 타고 세계를 일주하는 것이다, 장년의 꿈...... 나는 그가 꿈을 이루기를 바란다. 
● '배'를 구하여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믿음과 의지, 나는 그들에게 함일이라는 이름을 붙여 그들의 일상과 그 이면의 것들을 기록해 보고자 한다. 표류되지 않은 그들의 꿈은 무엇이고 다이내믹 코리아가 그들을 붙잡고 있는 원더풀한 이유에 대해. 
■ 김옥선
http://www.neolook.net/archives/20080619b

Sunday, September 29, 2013

Onground 지상소




Sep. 2013
Seoul


온그라운드 _ 지상소
건축 전문 갤러리

오픈 시간
평일: 오후 2시 ~ 오후 7시 (월요일 휴관)
주말: 오후 12시 ~ 오후 7시
위치
서울시 종로구 창성동 122-11
문의
010-7447-0771, jisangso@naver.com


onground _ jisangso
The Architecture Gallery

OPEN HOUR
WEEKDAY: 2pm - 7pm (closed on Monday)
WEEKEND: 12pm - 7pm

LOCATION 
122-11, Changsung-dong, Jongro-gu, Seoul, Korea

CONTACT
+82 01 7447 0771, jisangso@naver.com


건축가 조병수 작품 ‘온그라운드…’
목조주택을 전시공간으로 개조
천장 나무 사이로 햇빛 쏟아져
자연과 재료 특성 최대한 살려

서촌이라 불리는 서울 종로구 경복궁 옆 창성동 작은 길 안에 새 갤러리 하나가 들어섰다. 막다른 골목 끝 검은 철문을 열면 너무나 작은 마당과 역시 어두운 짙은 색 나무판으로 마감한 아주 아담한 건물뿐. 창고처럼 보이는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비로소 갤러리 특유의 순백색 내부가 등장한다. 그리고 다른 미술 공간에선 전혀 볼 수 없는 풍경이 갑자기 펼쳐진다. 천장 나무 틈 사이로 하늘에서 빛이 쏟아져내려 실내 전체에 자연의 무늬를 만들어낸다. 갤러리라고 하면 작품에 영향을 미치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게 상식이지만, 이곳 ‘온그라운드스튜디오’에선 작품이 아니라 천장에서 내려오는 빛들이 작품이자 주인공이 된다. 건축이 ‘빛으로 하는 예술’이란 것을 건물 전체로 보여주는 듯한 곳이다.
16일 문을 여는 온그라운드스튜디오는 현재 한국 건축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축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병수씨의 새 작품이자, 그가 직접 운영하는 전시공간이다. 국내에선 드문 건축 전문 문화공간을 표방해, 다양한 건축 관련 전시와 행사를 열 계획이다. 바로 옆 문화상점 가가린과 벽을 터 두 건물이 하나로 이어지는 독특한 건물이기도 하다.
서울 광화문 트윈트리타워, 강원도 화천의 소설가 이외수씨 집필실과 문학관, 경기도 파주 헤이리 황인용씨의 음악감상실 카메라타 등을 설계한 유명 건축가의 작품이라면 시선을 사로잡는 특별한 건물을 예상하기 쉽지만, 온그라운드스튜디오는 이런 예상을 모두 거부하는 작고 소박하고 차분하기 짝이 없는 집이다. 대신 건물 천장 나무 사이로 빛이 비처럼 쏟아진다. 색깔 짙은 나무 천장과 하얀 전시공간이 대비와 조화를 이루고, 빈 공간 안에서 빛들이 만들어내는 선들이 시간에 따라 변해가며 부유하듯 느릿느릿 춤을 춘다. 빛과 건축이 함께 만들어내는 미묘한 분위기를 사진으로 온전히 보여주기 불가능한 건축이다.
집은 원래 일제 강점기 때 지은 단층짜리 일본식 목조 주택이었다. 건물 면적은 불과 67㎡(약 20평). 건축가는 이 작은 건물에서 자기 건축의 근간으로 여겨온 지론과 경험을 녹이고자 했다. 특별한 장식이나 기교는 배제하고 재료의 물성을 최대한 살리는 정직함, 그리고 그가 늘 간직해온 특별한 기억과 연결되는 콘셉트였다.
조 건축가가 건축 인생에서 인상적인 순간으로 꼽는 것은 미국 유학 시절 몬태나에서 우연히 봤던 낡은 헛간이다. 긴 나무판으로 막은 벽이 오래되면서 틈이 벌어졌고, 그 틈으로 들어온 빛이 어두운 내부에서 반짝거리는 헛간 내부의 느낌은 그에겐 명건축물 못잖은 감동이었다. 창성동 집은 지붕 기와와 널판을 걷어내니 천장 뼈대 나무 사이로 빛이 들어오는 모습이었고, 건축가는 그 아름다움을 그대로 살렸다. 물론 빗물을 막기 위해 나무판 위로는 유리를 덮었다. 좁디좁은 쪽마당은 조경가 권춘희씨의 작품이다. 수십년 세월의 더께가 가득한 시멘트담과 얼기설기 만든 작은 계단을 남기고, 키작은 나무 몇 그루와 이끼 식물만으로 살짝 꾸몄다. 덜어낼 것은 덜어내고 심을 것만 최소한으로 심은 마당은 오히려 더욱 공간이 가득 차있는 느낌이다.
조 건축가는 늘 어린 시절 그를 매혹시켰던 시골 외가의 아름다움을 말한다. “빗소리와 햇살이 비치는 마당, 소나기 내릴 때의 흙냄새, 마당 주변의 소리와 볕과 질감” 같은 것들이 그의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돌고 돌고 돌아보니 결국은 하늘이 아름답고 물이 아름답고 땅이 아름다웠다. 그 아름다움은 내가 어렸을 때 본 아름다움과 같았다.” 빛으로 지은 창고 같은 창성동 갤러리는 그가 이야기해온 건축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
글ㆍ사진 구본준 기자 bonbon@hani.co.kr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86159.html

Wednesday, September 18, 2013

Speech is matter




클레멘스 크뤼멜 강연
Speech is matter, and Thinking like a stone
2013.10.11
오후 4 - 6
서울 종로구 세종로 139.
일민 미술관 3








Clemens Kruemmel Lecture
Speech is matter, and Thinking like a stone
11th October 2013
16 - 18 p.m.
Ilmin Museum of Art
3rd Floor
139 Sejongno, Jongno-gu, Seoul







Clemens Krümmel
Ausbildung:
Studium Kunstgeschichte, Philosophie und Städtebau,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Magister.
1988-1995 Kuratorische Ausbildung und Volontariat am Karl Ernst Osthaus-Museum Hagen.
Tätigkeit:
2006 ongoing Tätigkeit als freier Kurator, Redakteur, Kritiker und Übersetzer.
2000-2006 Redakteur und Mitherausgeber der Zeitschrift „Texte zur Kunst", Berlin (www.textezurkunst.de).
2004/2005 Mitkurator der Ausstellung „Tauchfahrten - Zeichnung als Reportage" (mit Alexander Roob), Kunstverein Hannover, Kunsthalle Düsseldorf; Mitgründer des Melton Prior Instituts für Reportagezeichnung, Düsseldorf (www.meltonpriorinstitut.org).
 Lehrtätigkeit:
Zahlreiche Lehraufträge, vor allem an der Merz-Akademie in Stuttgart und am Institut für Kunst im Kontext,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zurzeit an der Kunsthochschule Weißensee, Berlin (mit Dierk Schmidt).
 Publikationen:
Mitherausgeber der kunsttheoretischen Buchreihe „Polypen", b_books Verlag, Berlin (mit Sabeth Buchmann, Helmut Draxler und Susanne Leeb).
http://www.sander.arch.ethz.ch/clemens-kruemmel.html